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쿠팡수수료
- 아웃도어세제
- 코로나와 생강
- 생강을 먹어야하는 이유
- 첫 사망자발생
- 백합차효능
- 옥션수수료
- 화차효능
- 착상통과의 차이
- 긴목양말
- 출간기획서작성요령
- 병원내 감염
- 윈터로맨스
- 얼음설탕
- G마켓수수료
- 코로나19
- 복숭아차
- 세계일주 경비모으기
- 한국인 입국금지
- 음압병상
- 전국음압병실수
- 청도대남병원
- 붉은대추효능
- 월계화
- 친환경유연제
- 11번가수수료
- 미세플라스틱불검출
- 로즈차
- 컨세선스
- 연예인기부목록
- Today
- Total
살림하는 그녀
발모광의 원인 및 치료법 본문
발모광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최근 옥탑방의 문제아들이란 프로그램을 통해서 발모광이란 말이 화제가 되었는데요
발모광이란
발모광은 강박장애 또는 충동조절장애의 일종으로 분류되며,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머리카락, 눈썹, 속눈썹, 음모 등 다양한 신체부위의 털을 뽑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행동은 부위를 옮겨가며 나타날 수 있으며 직선, 원, 사각형, 또는 산발적인 부위에서의 모발 감소, 짧은 머리의 증가로 이어진다. 모발을 뽑는 행동을 멈추고자 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행동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고 알려졌다. 주로 10~13세의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처음 나타나며, 드물게 성인기에 나타나기도 한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생하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년 혹은 평생 동안 지속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모광 [Trichotillomania, 拔毛狂] (두산백과)
다들 경험들 있으시지 않을까 싶은데요
저만해도 학창시절에 머리카락을 한올 한올 두피에서 부터 머리끝까지 당기며 내려오면서 꼬불꼬불한 돼지털을 만나면
뽑고 아니면 다른 머리카락으로 넘어가고 그랬었어요
또 머리카락을 배배 꼬기도 했었어요
그러다 언젠가부터 그런 행동을 멈추게 되었는데 맘먹고 습관을 없앴다기 보다 자연스럽게 없어진거 같아요
그럼 발모광은 왜 생길까요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주로 긴장이나 불안이 고조되었을 때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 발모행동이 나타나며 모발을 뽑는 행위, 두피의 느낌을 통해 만족감이나 안정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느낀다고 합니다.
외상후 스트레스성장애에서 발모광이 과거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애착대상과의 분리,학교 따돌림,형제자매간의
경쟁,학습의 부담등 스트레스와 관련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울증 불안증 등 다른 정신의학적 문제가 있을시에 급격히 악화가 되기도 한다는데요
가족력이 보고되며 가족중에 틱,강박,충동조절장애가 많다고 보고됩니다
그렇다면 발모광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원인과 증상의 정도에 따라 약물치료와 행동치료.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고 하는데요
약물치료로는 항우울제인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가 우울여부와 관계없이 증상 조절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황,병발질환에 맞는 적절한 약물을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부모에 의한 경우가 많아 부모가 태도를 바꾸면 증상이 빠르게 줄어든다고 합니다
아이들 스스로 증상에 놀라고 수치스러움을 느껴 숨기고 싶어하므로 아이에게 비난을 한다거나
문제를 통해 수치심을 자극할 수 있는 말과 행동은 자제해야 합니다
상담치료는 행동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는데요
습관 반전 치료를 통해 발모 행동이 나타나는 상황 및 연합된 정서에 대한 인식을 다른 행동으로
대처하도록 합니다
발모광은 치료하지 않으면 발모행동이 지속되고 자신이 뽑은 털을 먹는 식모벽까지 이어질수 있어요
우울증.불안.강박장애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꼭 치료받아야 합니다